좋은 이력서란 무엇일까?
Interviewer eXperience?
이력서를 작성하며 학습한 내용이다.
경력 휴식기 회고 (2022.11–2023.05)
백수의 취업 준비 기록 놀고 먹다 진짜 취업 준비 ‘만’ 했다! 주변에 나처럼 퇴사하고 쉬는 사람들이 점점 보인다. 지금이 2030 비경제활동인구가 역대 최고치라고. 채용 시장이 나쁜 것은 사실이고, 제안도 예전만큼 안 오는데 심지어 내가 회사를 찾는 것도 어려워진 요즘이다. 그간의 경험 때문일까. 취업이나 채용이나 늦더라도 신중하게, 보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인데(
읽기 좋은 글 쓰기
인지 부하를 줄여라.
- 문장은 간결하게 목록으로 구성한다.
- 글씨 크기와 공백으로 적절히 디자인한다.
- 필요하지 않은 내용은 걷어낸다.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 써라.
- 지원할 회사와 직무에서 쓰지 않는 용어는 순화한다. (e.g. EMR → 병원 업무용 데스크탑 앱)
- 부족하면 적절한 위치에 설명을 덧붙인다. (e.g. 용어를 처음 사용할 때: 접수·진료·결제 등을 처리하는 병원 업무용 데스크탑 앱)
관련된 내용은 한 곳에 모아라.
- 무언가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한 곳에서 함께 보지 못해 스크롤을 반복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가능하면 배치를 변경하고, 어렵다면 차라리 중복 작성한다.
- 이력서를 읽는 입장에서 번거로운 작업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e.g. 경력을 일일이 계산할 필요가 없도록 총 경력 기간 작성)
링크를 활용해라.
- 이력서에 담아야 할 내용이 지나치게 많다면 강조하고 싶은 순으로 우선순위를 정해라. 이력서는 강점과 핵심만 작성하고 나머지는 GitHub이나 Notion 포트폴리오 등의 링크로 대체한다면, 인지 부하는 줄이되 정보는 더 많이 제공할 수 있다.
- 단, 링크는 어디까지나 보조 수단이다. 중요한 내용을 링크로 대체해서는 안 되고, 너무 많은 링크로 도배해서도 안 된다.
이목 끌기
첫 페이지에서 내가 어떤 사람인지 충분히 설명해라.
- 앞으로 이어질 긴 내용들을 읽게 만들려면 먼저 관심을 가지게 만들어야 한다.
- 2–5줄 내외의 자기소개(커버레터)를 작성한다. 자기소개는 회사에서 요구하지 않았다면 지나치게 길지 않아야 한다.
- 경험과 보유 기술을 작성할 때, 채용공고와 매칭되는 내용을 우선으로 작성한다.
이력서를 읽는 사람의 역할이 다르다는 것을 고려해라.
- 이력서는 나를 판매하는 행위이다. 제품이 하나라고 고객 그룹 또한 하나가 아닌 것 처럼, 이력서도 마찬가지다.
- 그룹은 크게 인사 담당자와 실무자로 나눌 수 있다.
- 인사 담당자는 실무자보다 먼저 이력서를 검토하고 지원자를 걸러낸다. (스크리닝) 수십, 수백 건의 이력서를 받는 입장에서 장문의 이력서는 보는 순간 큰 피로감을 유발할 것이다.
- 그에 반해 실무자는 지원자의 전문성을 파악하고 면접 질문을 준비해야 한다. 때문에 지원자의 이력서를 면밀히 들여다볼 텐데, 만약 본인이 반드시 채용해야 할 만큼 매력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1–2페이지의 이력서로는 부족할 수 있다.
- 이력서는 이목을 끌기 위한 목적으로 핵심만 작성하고, 링크를 제공해 포트폴리오로 유도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영문 이력서는 1–2페이지를 권장한다.
경험을 포트폴리오로 표현하는지, 이력서에 기술하는지의 차이.
회사가 알고 싶은 것
내가 회사에 적합한 인재라는 것을 나타내라.
- 자기소개 영역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 가장 중요한 것은 경험이다. 모든 내용은 내가 보유한 경험(경력, 기술 등)과 이어지도록 작성한다.
- 지원 동기를 포함한다. (e.g. ~ 이유로 회사와 핏이 맞고 ~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 로 성장하고 싶다)
- 원한다면 관심사를 포함한다. (e.g. A에 관심 있어 ~ 를 공부하고 ~ 프로젝트에 적용한 경험이 있다)
경험에 WHY, HOW, WHAT을 포함해라.
골든 서클(Golden Circle) 이론
WHY — Purpose: 이 일을 왜 했는지
HOW — Process: 어떻게 문제를 해결했는지
WHAT — Result: 이 일로 얻은 성과는 무엇인지
- 일을 시작하기 위해 설득이 필요하듯, 이력서도 나를 채용하게 만들기 위한 설득의 과정이다.
- 문제 해결 능력을 중요시하는 회사는 이런 소프트 스킬 또한 중요시한다.
- 직관적이면 이해하기 쉽다. 성과(WHAT)는 가능하면 수치화한다. (e.g. Babel을 ESBuild로 대체해 빌드 시간을 N초에서 M초로 단축)
직무 외적으로 기여한 경험을 작성해라.
- 직무 경험이 충분히 있어야 하지만, 매몰될 필요는 없다. (e.g. 프로세스 개선, 사내 문화 도입)
- 직무 경험과 동일하게 문제 해결 과정은 모두 WHY, HOW, WHAT을 포함해라.
필요하면 토이 프로젝트를 강조해라.
- 토이 프로젝트는 A부터 Z까지, 내 모든 것을 보여줄 수 있다. 회사에서 쌓은 경험이 부족하거나 만족스럽지 못했다면 오픈 소스나 토이 프로젝트 경험을 잘 살리는 것도 방법이다.
- 토이 프로젝트라고 가볍게 여겨 단순히 결과물만 제출하기보다, 실제로 일하는 것처럼 프로젝트의 이유와 목적, 사용 방법, 소프트웨어 설계나 문제 해결 과정 등을 문서화하는 것이 좋다.